KB국민은행에서는 국민들과 청년들에게 내 집마련에 필요한 주택청약종합저축통장 상품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일반 주택청약 종합저축과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 종합저축 두가지로 상품이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KB국민은행 주택청약 종합저축 통장, 주택부금 신청자격, 금리에 대하여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KB국민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매월 약정납입일(신규가입일 해당일)에 월저축금을 납입하는 적금식 상품으로 순위가 발생하고 소정의 청약자격을 갖추면 국민주택 및 민영주택에 모두 청약할 수 있는 입주자저축상품입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대상으로는 국내 거주 국민 및 외국인 거주자(재외국민, 외국국적동포 포함)분들도 나이에 관계없이 가입이 가능합니다.
단, 전 금융긱관을 통하여 주택청약 종합저축 및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 종합저축,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 중에서 1인 1계좌만 가능합니다.
무주택세대의 세대주로서 연간 총 급여액이 7천만원 이하인 근로소득자의 경우 무주택 확인서 제출 후 최대 96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의 납입기간은 가입일~입주자로 선정된 날까지이며, 입주자로 선정되었지만 실제로 분양을 받지 않고 포기한 경우에도 청약저축의 효력이 사라지게 되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 재가입을 해서 다시 청약 1순위 요건을 충족하여야 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구분 | 내용 | 비고 |
최고금리 | 연 1.8% | - 기본이율(연0 ~ 1.8%) ※ 가입기간에 따른 금리적용, 정부고시 변동금리 적용 |
납입기간 | 가입일로부터 입주자로 선정된 날까지 (단, 분양전환 되지 않는 임대주택 입주자로 선정된 경우 제외) |
|
적립 방법 및 금액 | 매월 약정납입일(신규 가입일 해당일 또는 전환가입일 해당일)에 2만원 ~ 50만원 이하의 금액을 10원단위로 납입 ※ 단, 입금하려는 금액과 납입누계액의 합이 1,500만원 이하인 경우 50만원을 초과하여 입금 가능 ※ 월저축금이 매월 약정납입일을 초과하여 입금되면 연체일수가 발생하며, 국민주택 청약 시 순위발생이 지연될 수 있음 |
|
일부해지 | X | 해지 시 원금과 이자 일괄 지급 |
예금담보대출 | O | 가능 |
예금자보호 | X | 주택도시기금 조성재원으로 정부가 관리 |
세제혜택 | O | 비과세종합저축으로 가입 가능 |
위의 표는 주택청약 종합저축의 핵심사항으로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한번 살펴보신 후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
적립방법 및 저축금액
- 자유적립식
- 저축가능금액:2만원에서 50만원까지
- 선납:납입회차에 추가해서 최고 24회까지 선납가능
KB국민은행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저축통장

청년우대형 주택청약 종합저축 통장은 일반형의 주택청약 종합저축과는 다르게 소정의 자격요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 만 19세 ~ 만 34세(병역복무기간 인정)의 연 3천만원 이하 신고소득(근로·사업·기타)이 있는 자로서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해야 합니다.
- 가. 가입자 본인이 무주택이며 가입(전환)일 기준 3개월 이상 연속하여 세대주이어야 합니다.
- 나. 가입자 본인이 무주택이며 가입(전환)일로부터 3년 이내 3개월 이상 세대주가 될 예정자이어야 합니다.[단, 해지 전까지 동 사실 입증해야 함]
- 다. 가입자 본인이 무주택세대의 세대원인 이어야 합니다.
[가입자의 주민등록등본상 등재된 본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형제·자매, 친척 제외) 전원이 무주택]
※ 근로소득은 총급여액 기준, 사업·기타소득은 종합소득금액 기준임
※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은 주택청약종합저축,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 을 포함하여 전 금융기관 1인 1계좌에 한함
구분 | 내용 | 비고 |
최고금리 | 연 3.3% | - 기본이율(연0 ~ 1.8%) ※ 가입기간에 따른 금리적용, 정부고시 변동금리 적용 - 우대이율(연1.5%p) ※ 가입기간 2년 이상인 경우 무주택기간에 따라 원금 5천만원 한도로 최대 10년 동안 적용(자세한 우대이율 요건은 상품설명서 확인) |
납입기간 | 가입(전환)일로부터 입주자로 선정된 날까지 (단, 분양전환 되지 않는 임대주택 입주자로 선정된 경우에는 계속 납입 가능) |
|
적립 방법 및 금액 | 매월 약정납입일(신규가입일 해당일 또는 전환가입일 해당일)에 2만원 ~ 50만원 이하의 금액을 10원 단위로 납입 ※ 단, 입금하려는 금액과 납입누계액의 합이 1,500만원 이하인 경우 50만원을 초과하여 입금 가능 ※ 월저축금을 매월 약정납압일을 경과하여 입금 시 지연일수가 발생하며, 국민주택 청약 시 순위발생이 지연될 수 있음 |
|
일부해지 | X | 해지 시 원금과 이자 일괄 지급 |
예금담보대출 | O | 가능 |
예금자보호 | X | 주택도시기금 조성재원으로 정부가 관리 |
세제혜택 | 가입(전환)일 기준 무주택세대의 세대주로서「조세특례제한법」제87조, 제129조의2, 제146조의2 및 동법 시행령 제81조, 제123조의2, 제137조의2에서 정하는 세부사항(대상,요건, 범위 등) 충족 시 가입기간 2년 이상 유지한 계좌의 이자소득 500만원(납입금액 600만원 한도)에 대해 비과세 적용 가능(우대이율 적용 요건과 상이함) |
▶ 적립방법 : 자유적립식
국민주택 청약 시 납입인정금액, 인정회차 산정하는 경우 매월 약정납입일(신규가입일 해당일)에 연체없이 납입하여야 유리
▶ 저축가능금액
각 회차당 2만원 이상 50만원 이하 범위 내에서 10원 단위로 자유납입
※ 단, 입금하려는 금액과 납입누계액의 합이 1,500만원 이하인 경우 50만원을 초과하여 입금 가능
▶ 선납
정상 납입회차에 추가하여 최고 24회까지 선납 가능
지금까지 KB국민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