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이라면 금융거래를 위해서는 신용등급 관리의 필요성은 말할 필요도 없을 정도로 중요한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용등급을 어떤 방식으로 관리해야 신용등급을 현재의 수준으로 유지하고, 또한 등급을 향상 시킬 수 있는지 잘 알지 못하는데요. 뿐만 아니라 왜 나의 신용등급은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서 낮은상태인지도 궁금해질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UaHE/btqTYRItWul/xywkqGWD1vCml6ZpxM1Ov0/img.jpg)
이와는 반대로 신용등급이 7,8,9,10으로 저신용등급인 경우에는 은행보다는 캐피털, 사금융, P2P 대출 등을 더 많이 이용하게 되어 신용점수가 시간이 지날 수록 올라가기 보다는 내려가는 악순환이 지속되게 됩니다.
그럼 먼저 현재 나의 신용등급이 어느 정도수준인지 확인해보는 것이 필요한데요. 국내에서 대표적인 신용평가 사이트로 NICE평가정보의 NICE지키미와 전국민 신용등급 무료조회 올크레딧가 있는데요.
1. 올크레딧 신용점수 VS NICE지키미 신용점수
등급
|
나이스
|
올크레딧
|
1
|
900점-1000점
|
942점-1000점
|
2
|
870점-899점
|
891점-941점
|
3
|
840점-869점
|
832점-890점
|
4
|
805점-839점
|
768점-831점
|
5
|
750점-804점
|
698점-767점
|
6
|
665점-749점
|
630점-697점
|
7
|
600점-664점
|
530점-629점
|
8
|
515점-599점
|
454점-529점
|
9
|
445점-514점
|
335점-453점
|
10
|
0점-444점
|
0점-334점
|
나이스지키미의 경우 1등급은 신용평점이 900점 이상이지만, 올크레딧는 942점 이상이어야만 1등급에 되기 때문에 동일한 900점이라고 해도 나이스는 1등급 올크레딧은 2등급으로 각각 다른 등급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
2. 신용등급제도
금융위원회에서 발표 내용을 확인 해보면 신용평가체계 개선방안에 의해 2018년 하반기부터 대형금융권부터 신용등급제에서 신용점수제로의 전환을 시범실시한다고 밝혔는데, 2019년부터는 전업권으로 확대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향후에는 신용등급보다 신용등급점수표 평점관리에 더욱더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등급 |
구분 |
의미 |
1~2 |
최우량 |
신용거래가 오래된 경력과 여러 우량한 신용거래 실적을 가지고 있어 부실화 가능성이 매우 낮음을 의미합니다. |
3~4 |
우량 |
신용거래가 활발한 실적은 없지만, 우량한 거래를 꾸준하게 지속하는 경우 상위등급 진입이 가능하며 부실화 가능성은 낮은 수준으로 판단합니다. |
5~6 |
일반 |
금리가 비교적 높은 금융업권과의 거래를 하는 고객으로 단기연체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부실화 가능성은 일반적 수준으로 판단합니다. |
7~8 |
주의 |
비교적 금리가 높은 금융업권과의 거래 이력이 많은 고객으로 단기연체의 경험을 비교적 많이 보유하고 있어 부실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합니다. |
9~10 |
위험 |
이미 연체이력을 가지고 있거나 연체중으로 매우 심각한 연체의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 부실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합니다. |
3. 신용평점과 등급 올리는 방법은?
5. 카드론 대출, 신용카드 연체 등의 무분별한 금융거래 이력등은 신용점수 하락시키는 원인이 되어 등급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6. 햇살론 미소금융 새희망홀씨 바꿔드림론 등 서민금융 대출을 이용하고 있다면 1년이상 성실상환 한 경우 또는 50%이상 상환한 경우 5~13점의 가점을 받을 수 있으니 잊지말고 가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신용점수가 하락하는 것은 짧은 시간이라도 발생될 수 있지만, 내려간 신용등급을 다시 올리는 것은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평소에 꾸준하게 관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주기적으로 나의 신용점수를 확인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노력을 같이 병행하여야 높은 신용점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